고양이에 이어서 이번에는 강아지의 방광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와 다르게 강아지는 세균 감염에 의한 방광염이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발생 빈도가 정말 높기 때문에 1차 병원에서 일하면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인데요. 세균성 방광염은 또한 여러 질병의 합병증으로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대학병원에 다니는 환자들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질병입니다. 필요할 때 치료되지 않으면 상행성으로 신장에 영향을 주면서 신우신염으로 발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1. 세균성 방광염이란?
세균성 방광염은 방광의 세균감염으로 인해 방광내에 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주로 요도로부터의 상행성 세균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체내에서는 정상적으로 점막 방어벽, 전신적 면역 기능 등의 여러가지 기전들을 통해 세균감염으로부터 방어하는데 이 균형이 깨지면서 감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세균성 방광염의 가장 흔한 감염세균은 대장균(E.coli)이며 거의 50%를 차지하는 원인균입니다. 방광염은 다른 질병의 합병증으로도 잘 발생하는데, 주로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복용 환자, 당뇨, 쿠싱증후군, 만성신부전, 디스크, 종양 환자들에게서 호발합니다. 강아지 디스크 환자의 27%가 세균성 방광염을 진단 받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증상
세균성 방광염의 증상은 배뇨와 관련된 증상으로 여러 번 배뇨하는 증상, 배뇨곤란, 배뇨통증을 보이며, 혈뇨, 요 분비물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또, 소변에서 이전과 다른 악취가 느껴질 수 있습니다. 배뇨통증과 배뇨곤란과 같은 증상은 보호자들이 알아차리기 쉽지 않은 편이라 주로 혈뇨, 요 분비물, 악취, 빈뇨 등의 이상행동과 소변의 육안적 변화를 보일 때 동물병원에 내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진단
세균성 방광염은 증상이 있어 내원했을 때 소변 검사를 통해 세균과 염증세포를 확인함으로써 진단합니다. 방광 초음파를 통해 방광 상태를 추가적으로 확인할 소변 검사를 위한 시료는 방광천자를 통해 채취할 것을 가이드라인 상에서 권장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방광천자를 통한 요채취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는 보호자님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자연배뇨를 통한 요의 채취는 방광 외의 부분에서 세균 감염으로 인해 오염되는 경우가 많아,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라면 천자를 통한 채취를 권장드립니다. 집에서 소변을 받아오는 경우, 실내 온도에서는 매 45분마다 세균이 두 배가 되기 때문에, 냉장보관 후 가져오시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Olin, S. J., & Bartges, J. W. (2015). Urinary tract infections: treatment/comparative therapeutics. Veterinary Clinics: Small Animal Practice, 45(4), 721-746.
4. 치료
세균성 방광염은 대부분의 경우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였을 때 치료반응이 좋습니다. 그러나 제때 치료받지 못하고 방광염이 지속되는 경우 신장으로 감염이 타고올라가 신우신염이 발생하거나 심하면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항생제 투약 전에 요배양과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어떤 세균에 의한 감염인지와 적절한 항생제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검사결과를 기다리는 사이에는 경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를 투약합니다.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했다면 48시간 이내에 증상의 개선이 확인됩니다.

4. 관리

세균성 방광염은 재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방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음수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해주고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기저질환을 찾아 관리해야 합니다. 방광염 관련해서는 여러 영양제들을 이용해 볼 수도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크랜베리 추출물과 D-만노스(D-mannose)가 있습니다. 이러한 영양제들이 방광염의 재발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의사가 알려주는 핵심 Tip
세균성 방광염 치료에 실패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부적절한 항생제 처방 또는 치료기간
2) 투약이 제대로 되지 않았거나 구토 등으로 인해 복약이 제대로 되지 못한 경우
3) 지속적으로 감염을 일으키는 기저질환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
4) 여러 가지 종류의 세균 감염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
5) 약물 내성이 발생한 경우
때문에 아이의 증상을 자세히 관찰하고, 원인이 무엇인지 수의사와 함께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몹시 중요합니다.
※ 위 정보는 2025년 08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방문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세계 개의 날, 국제 강아지의 날